- [남군]빛고을한량
- 0
- 11
- 0
- 0
- 2024-11-01 06:10:45
- 관련링크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73839&PAGE_CD=N0002&CMPT_CD=M0136 0
- 제목 : 버려진 땅 1만 5천 평에 코스모스를 심었더니 장흥 품에 안긴 탐진강변 마을에 가다
탐진강은 영산강, 섬진강 다음으로 큰 전라남도 젖줄이다. 장흥과 영암 사이 국사봉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장흥군 들녘 지나 강진만으로 흘러든다. 탐진은 제주도 옛 이름인 탐라도 사람이 육지에 처음으로 배를 대어 올라온 데서 유래했다.
탐진강이 시작하는 유치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다. 해방공간에서 조선노동당 전남도당이 둥지를 틀었다. 한국전쟁 때 장흥읍이 두 달여 북한군에 점령되었던 반면 유치는 일 년 반 동안 공방이 이어졌다. 주요 전투 지역이 보림사 인근 골짜기였다. 빨치산 해방구였다는 이유로 오지로 방치돼 오다가 장흥댐에 잠겼다.
보림사 거쳐 장흥으로
큰사진보기
▲보림사대적광전 앞 국보 44호인 남북 삼층 석탑과 석등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유치 깊은 골에, 천여 년 전 보림사가 들어섰다. 759년 원표가 터를 잡았다. 860년 보조선사 체징이 헌안왕의 권유로 들어와 신라 선문구산 중 제일 먼저인 가지산파(迦智山派) 중심 사찰로 만들었다. 그의 비와 탑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중창과 중수를 거쳐 20여 동 전각을 갖춘 대찰이 되었다. 빨치산 토벌 작전 때 대부분 소실되어, 돌로 된 것과 나무로 된 것 중 천왕문과 사천왕과 외호문만 남았다. 대적광전과 대웅보전이 새로 지어 절집다운 풍모를 되찾았다.
국보 둘과 보물 여섯이 있다. 대적광전 주불인 국보 117호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858년(헌안왕 2)에 만들어진 신라말 철조불상의 대표작이다. 대적광전 앞에 나란히 서 있는, '남·북 삼 층 석탑과 석등'은 국보 44호로 870년(경문왕 10)에 세워졌다. 신라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경주 외 지역에서 이처럼 우아한 기품이 넘치는 것을 만나기도 쉽지 않다.
국보나 보물에 비할 순 없겠지만, 화장실과 샘도 볼만하다. 순천 선암사 해우소가 장대하여 부담스럽다면 이곳은 아담하여 편안하다. 절집 들어서기 전 좌측에 있는데 푸세식(?) 해우소 모범을 보여주는 듯하다. 절터는 유치분지를 줄여 놓은 모습이다. 산으로 둘러싸인 너른 마당 중앙 움푹한 곳에서 샘물이 솟는다. 송사리가 놀고 다슬기도 산다.
큰사진보기
▲정남진토요시장댐으로 수량이 적어 개천으로 변했다. 우안은 구도심, 좌안은 신도심이다.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장흥읍 방면으로 강을 따라 내려갔다. 우측으로 장흥댐이 지난다. 댐 물은 진도대교를 건너 진도까지 간다. 강변 풍광 좋은 곳에 정자 여덟 개가 들어서 장흥 문학을 멋스럽게 하였다. 정자는 남은 것도, 없어진 것도, 새로 지은 것도 있었다. 개천처럼 변한 강변에 억새가 가을 하늘 아래서 갈치 지느러미처럼 반짝였다.
너른 부산면 들판을 지나 장흥읍에 들어섰다. 조선시대에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동학농민혁명 때 안핵사가 되어 고부군으로 갔던 이용태가 이곳 부사였다. 보를 막아 얼마 되지 않은 물을 가두어 물의 고장으로 만들었다. 우안은 구도심, 좌안은 신도심이다.
사람 3만 소 6만, 사람보다 소가 더 많은 고장이다. 구도심에 오일장이 선다. 2일과 7일이다. 토요일에는 정남진토요장터가 열린다. 소고기와 키조개 관자와 표고버섯을 함께 굽는 '장흥삼합'으로 유명세를 탔다. 10월 20일 일요일, 바닥이 드러난 탐진강을 보며 소머리국밥을 먹었다.
큰사진보기
▲석대들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 지붕에서 본 모습. 사진 앞쪽이 장대 모형이다.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강에서 바다로
장터에서 강진 쪽으로 5분쯤, 석대들이다. 강진현과 전라병영성이 가까운 이곳에서 동학농민혁명 최후의 격전이 벌어졌다. 정읍 황토현, 공주 우금치, 장성 황룡과 함께 동학농민혁명 4대 전적지다. 1894년 12월 14일부터 이틀에 걸쳐 3만여 명의 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들어섰다. 전시실에서 '장대'가 눈길을 끌었다. 전주성 전투 때 처음 등장하였다. 대나무로 짠 커다란 닭장 모양이다. 볏짚을 채우면 총알이 뚫지 못한다. 석대 전투에서도 장대가 사용되었다. 지휘관 이방언을 '장태장군'이라 불렀다.
큰사진보기
▲회진항갈대와 코스모스와 바다가 어울렸다. 사진 좌측이 노력도, 우측이 선학동이다.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큰사진보기
▲천관산회령진성 성벽에서 본 모습.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강에서 바다로 방향을 잡았다. 장흥을 문림(文林)이라고 한다. 회진을 빼놓을 수 없다. 이청준 연작소설 <남도사람 5부작> 중 앞 세 편은 <서편제>, <소리의 빛>, <선학동 나그네>다. 임권택 감독이 '서편제'와 '소리의 빛'으로 1993년에 영화 <서편제>를 만들어 우리나라 영화 최초로 100만 관객을 동원하였다. 2007년에는 '선학동 나그네'로 영화 <천년학>을 만들었다. 선학동은 이청준 고향마을인 회진면 진목리 앞 동네다.
<소리의 빛>은 이렇게 시작한다. "주막집은 장흥읍을 아직 10여 리쯤 남겨놓고 탐진강 물굽이의 한 자락을 끼고 돌아앉아 있었다." 석대 들녘이 끝나는 즈음이다. 영화에서는 영광 어디쯤이지만. 강물은 동으로 나는 남으로 향했다. 오른쪽으로 천관산이 지난다.
회진항, 득량만 입구다. 이순신 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해임되고,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침몰당할 때, 경상우수사 배설이 판옥선 12척을 이끌고 전선을 이탈하였다. 서쪽으로 도망하여 장흥 회룡포, 지금의 회진항에 숨었다. 수군진 회령진성이 있었다. 이순신 장군이 복직한 후 머물며 수군을 정비했다. 명량해전 기반을 여기서 갖췄다.
항구 앞, 섬이 노력도다. 제주를 제일 빨리 가는 뱃길이었다. 항구마다 경쟁이 치열해지며 다투어 빠른 배를 출항시키면서 손님이 급감하여 폐항이 되었다. 회진 보건소 앞에서 코스모스가 울긋불긋 파도처럼 출렁였다. 갈대와 어우러져 바다까지 이어졌다. 끝에는 빨간 등대가 있다. 뒤로는 회령진성 너머 천관산이 가을 분위기를 보탰다.
원래 버려진 땅이었다고 한다. 1만 5천 평, 갈대밭에 쓰레기만 쌓여갔다. 회진면에서 코스모스를 심었다. 항구가 밝아지고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스치듯 만난 면장이 말했다. 봄 회진은 유채꽃이 가을 회진은 메밀꽃이 가득하다고도 했다.
한승원 생가와 이청준 생가
회진항 좌측 재 넘어 한승원 생가가, 오른쪽 재 넘어 이청준 생가가 있다. 1939년, 같은 해 에 태어났다. 둘 다 십 리 길이었다.
노벨문학상 받은 한강 아버지라서 그랬을까. 1990년 청룡영화상을 휩쓴, 강수연이 주연한, <아제아제바라아제>를 쓴 한승원 생가를 먼저 찾았다. 들어갈 때는 노력도 가는 큰길로 돌아서, 나올 때는 그가 걸어 넘었다는 한재를 넘어 덕산리로 나왔다.
이청준 고향마을 진목리는 선학동 너머에 있다. 선학동에는 눈이 내린 듯 하얀 메밀꽃이 언덕을 덮었다. 밭두렁 정자에 앉았다. 예전에는 바다였다는 들판, 그 너머에 바다가 있었다. 소설 <선학동 나그네> 배경이 되었다.
큰사진보기
▲선학동메밀밭이 언덕을 따라 펼쳐졌다. 좌측 중간 바닷가에 <천년학> 세트장이 있다. ⓒ 김재근관련사진보기
선학동 마을 건너 바닷가에 임권택 100번째 영화 <천년학> 세트장이 있다. 빨간 골함석 지붕과 돌담이 발길을 멈춰 세웠다. 마루에 앉아 '송화'와 '동호'의 애절한 사랑과 그리움을 생각했다. 바다에 물이 들어오고, 가을 해가 천관산을 넘어가고 있었다.
- 첨부파일
- 댓글